2022년 2학기 수업
약어 모음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 PC) :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한다.명령어 레지스터(Instruction Register, IR) : 메모리에서 읽은 명령어를 수행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저장한다.기억 장치 주소 레지스터(Memory Address Register, MAR) : 다음에 읽기/쓰기 동작을
수행할 기억 장소의 주소를 저장하는 주소 저장용 레지스터이다.기억 장치 버퍼 레지스터(Memory Buffer Register, MBR) : 기억 장치에 저장할 데이터나
기억 장치에서 읽은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입출력 주소 레지스터(I/O Address Register, I/O AR) : 입출력 장치의 주소를 저장한다.입출력 버퍼 레지스터(I/O Buffer Register, I/O BR) : 입출력 모듈과 CPU 사이에 교환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제어 주소 레지스터: Control Address Register, CAR제어 버퍼 기억장치: Control Buffer Register, CBR서브루틴 레지스터: SuBroutine Register, SBR산술논리 연산 장치: Arithmetic Logic Unit, ALU중앙 처리 장치: Central Processing Unit, CPURAM(Random Access Memory)ROM(Read Only Memory)Integrated Drive Electronics(IDE)병렬 인터페이스: Paralle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P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SATA)Digital Versatile Disc(DVD)SSD(Solid State Drive)등각 속도(Constant Angular Velocity, CAV) 방식한 번 기록/읽기 전용(WORM, Write Once/Read Memory) 디스크CD-R(Compact Disk Recoderable)CD-RW(Compact Disk Rewritable)RAID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Independent) Disks)광학 마크 판독기(OMR, Optical Mark Recognition)광학 문자 판독기(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직접 기억 장치 액세스(DMA, Direct Memory Access)입출력 프로세서(I/O Processor, IOP)입출력 채널 명령어(Channel Command Word, CCW)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EISA(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로컬 버스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1주차 (개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
컴퓨터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하드웨어 : 컴퓨터의 물리적인 장치소프트웨어 : 하드웨어의 동작을 제어하고 지시하는 프로그램▶️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컴퓨터의 두뇌에 해당하는 장치로 제어장치(Control Device), 산술논리 연산 장치(ALU, Arithmetic Logic Unit), 레지스터로 이루어져 있다.▶️ 기억 장치(Memory Device)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정적 RAM : Static RAM(SRAM) / 동적 RAM : Dynamic RAM(DRAM)주기억 장치(Main Memory) : 프로그램 실행 중 일시적으로만 사용된다. 휘발성 메모리로서 고속으로 액세스가 가능하다. ROM과 RAM이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은 DRAM과 SRAM으로 구분된다.보조 기억 장치 (Secondary Memory) : 하드디스크나 SSD, CD-ROM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입출력 장치(Input/Output Device)
입력 장치 :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마이크 등출력 장치 : 모니터, 스피커, 프린터 등컴퓨터의 발전 과정
▶️ 기계식 계산기의 발전 과정
파스칼린(Pascaline) : 최초의 기계식 계산기가감승제 계산기 : 곱셈과 나눗셈도 가능마크 I : 최초의 전기 기계식 계산기ENIAC : 최초의 전자식 디지털 컴퓨터EDSAC : 폰 노이만이 제안한 것으로 최초의 프로그램 내장 방식▶️ 컴퓨터의 발전 과정
컴퓨터의 분류
▶️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
전용 컴퓨터(Special Purpose Computer) : 특정 목적을 위해 설계된 컴퓨터. 군사용이나 공장의 공정 제어용 등범용 컴퓨터(General Purpose Computer) : 여러 분야의 다양한 일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제작된 컴퓨터. 우리가 보통 사용하는 컴퓨터도 여기에 해당한다.▶️ 데이터 형태에 따른 분류
디지털 컴퓨터아날로그 컴퓨터하이브리드 컴퓨터▶️ 처리 능력에 따른 분류 (이 분류에서 스마트폰은 열외)
마이크로컴퓨터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집적회로를 사용하여 부피가 작고 저렴하며 대량 생산된다. (ex. 셋톱박스)미니컴퓨터 : 속도가 빠른 주변 장치가 있어 다수의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다. (ex. PC)메인프레임 컴퓨터 : 대용량 저장 장치가 있어 다중 입출력 채널을 이용한 고속 입출력 처리가 가능하다. (ex. 학교 전산실 컴퓨터나 대규모 회사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슈퍼컴퓨터 : 복잡한 계산을 초고속으로 처리하는 초대형 컴퓨터 (ex. 기상청 컴퓨터)▶️ 구조에 따른 분류
파이프라인 슈퍼컴퓨터 : CPU 하나에 다수의 연산 장치가 포함된 컴퓨터. 고속 벡터 계산이 가능.대규모 병렬 컴퓨터 (MPC, Massively Parallel Computer) : 슈퍼컴퓨터의 한 종류로, 시스템 하나에 상호 연결된 수백 또는 수천 개의 프로세서가 하나의 큰 작업을 나누어서 병렬로 처리한다.2주차
▶️ 비트, 바이트, 워드
비트(Bit) : 2진수로 데이터를 표현하는 단위바이트(Byte) : 비트의 집합. 1바이트는 8비트이다. 아스키코드의 경우 1바이트가 한 문제라는 개념으로 정보가 처리된다.워드 (Word) : 컴퓨터의 종류에 따라 2바이트, 4바이트, n바이트 등으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32비트가 많이 쓰인다.▶️ 2진수, 8진수, 16진수를 10진수로 변환
▶️ 10진수 → 2진수, 8진수, 16진수 변환
2진수와 8진수,16진수 간 변환은 2진수를 8진수는 3자리씩, 16진수는 4자리씩 묶어 변환▶️ 부호화-크기 표현
부호화-크기 표현에서는 n비트의 2진수에서 최상위 비트는 부호 비트이고 나머지 n-1개의 비트는 수의 절대 크기를 나타낸다.